오아후에서 또 다른 여행 관련 뎅기열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하와이 보건부는 오아후에서 여행과 관련된 뎅기 바이러스 사례가 또 발생했다고 보고했으며, 이로써 올해 들어 이 주에서 발생한 뎅기 바이러스 사례는 총 9건이 되었습니다.
DOH는 영향을 받은 사람이 뎅기열이 퍼진 것으로 알려진 지역으로 여행했지만, 어디인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팀은 오아후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파견되어 검사와 모기 방제를 실시했습니다.
올해 여행 관련 뎅기열 사례 9건 중 6건은 오아후에서, 2건은 마우이에서, 1건은 카우아이에서 발생했습니다.
DOH는 보도자료에서 “이러한 사례 조사 중에 확인된 여행 노출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 걸쳐 퍼져 있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현재 정상보다 더 높은 뎅기열 활동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뎅기열 발병은 중남미 일부 지역, 필리핀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 중동, 아프리카, 아메리칸 사모아,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를 포함한 일부 태평양 섬,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푸에르토리코를 포함한 카리브해 일부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6월에 올해 미국에서 뎅기열 감염 위험이 증가했다는 경고를 발표하여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대중을 대상으로 알렸습니다.
CDC는 “COVID-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뎅기열 사례가 다시 급증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CDC에 따르면, 이번 연도 전 세계 뎅기열 발생률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미국 여행객 사이에서 예상보다 많은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DOH에 따르면 뎅기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에서 모기로, 모기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하와이에는 뎅기 바이러스를 운반할 수 있는 모기가 서식하지만, 이 질병은 여기에서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증상에는 갑작스러운 발열, 메스꺼움, 구토, 발진 및 몸살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2~7일 동안 지속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 1주일 후에 회복됩니다.
보건부는 뎅기열이 유행하는 지역으로 여행을 계획하거나 여행을 다녀온 사람은 누구나 감염 위험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와이 거주자는 여행 4~6주 전에 해당 국가의 여행 정보를 검토하여 해당 국가의 뎅기열 위험 및 예방 조치에 대한 최신 지침을 확인해야 합니다.
뎅기열 위험 지역에서 돌아온 주민은 3주 동안 모기 물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돌아온 후 2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보건 당국은 또한 고여 있는 물이 담긴 용기를 비워서 집 안팎에서 모기 번식지를 없앨 것을 권고합니다.
(이것은 신디케이트된 뉴스피드에서 편집되지 않은 자동 생성된 기사입니다. 파이에듀뉴스 직원이 콘텐츠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편집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